[의학칼럼] 기록적 폭염 속 온열질환 급증, 증상별 대처법은
페이지 정보
본문
기록적 폭염 속 온열질환 급증, 증상별 대처법은
뉴스인데일리, 2025.07.24

연일 계속되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온열질환 환자가 급증하면서, 특히 노인과 어린이 등 취약계층의 건강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 급성 질환으로, 가벼운 일사병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열사병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가장 흔한 온열질환인 일사병은 장시간 더운 환경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며, 어지럼증과 피로, 오심(메스꺼움), 무력감, 피부 홍조, 다량의 발한, 빠른 심박수(빈맥) 등이 주요 증상이다. 심한 경우 구토나 의식 혼미도 동반될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시원한 그늘이나 실내로 이동해 휴식을 취하고, 물과 전해질을 충분히 보충해야 한다. 하지만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의식 저하가 있을 경우, 열사병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지체 없이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열사병은 온열질환 중 가장 위중한 상태로, 체온 조절 중추가 손상되어 땀이 나지 않고 체온이 급격히 상승한다. 심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며 두통, 오한, 빠른 맥박, 저혈압, 메스꺼움, 어지럼증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한다. 특히 노인, 심혈관질환자, 신경계 질환자, 치매 환자, 알코올 중독자 등은 고위험군에 속한다. 열사병이 의심될 경우 환자를 즉시 그늘로 옮긴 후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차가운 물수건이나 얼음 등으로 온몸을 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함께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해야 생명을 지킬 수 있다.
열경련은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종아리, 허벅지, 어깨 등의 근육이 갑작스럽게 수축하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이 경우 시원한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고 가볍게 스트레칭을 하며, 전해질 음료나 소금물 등을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전해질 음료가 없을 경우, 물 1리터에 소금 한두 티스푼을 섞어 마셔도 된다.
열실신은 체액 감소와 말초혈관 확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시적인 의식 저하 현상이다. 대부분 실외 활동 중 갑자기 서 있거나 움직이던 중 발생하며, 이 경우 환자를 눕히고 머리를 낮춰주며 호흡과 맥박을 관찰해야 한다. 수분을 보충하면 대부분 빠르게 회복된다.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여름철에는 낮 12시부터 오후 5시 사이 야외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을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헐렁하고 밝은색의 옷을 착용하며, 부득이하게 외출할 경우에는 모자나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휴대용 물병을 챙기는 것이 좋다. 카페인 음료나 음주는 탈수를 유발하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온이 35도 이상으로 치솟는 폭염 속에서는 사소한 증상도 온열질환의 전조일 수 있는 만큼, 철저한 예방 수칙을 지키고 증상별 대응법을 숙지해 건강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다음글[보도자료] 광명웰니스건강검진센터, 광명시 지역 청소년 장학금 지원 협약 체결 25.07.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